C 분견군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C 분견군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제국의 군사 조직으로, 1914년 9월 18일 제5군의 남부에서 분견군 슈트란츠로 창설되었다. 1917년 2월 2일 C 분견군으로 개편되었으며, 서부 전선에서 군집단 갈비츠의 일부로 활동했다. 슈트란츠 분견군은 제5육군단, 제3바이에른 왕립군단, 분견군사령부 직속 부대로 구성되었으며, 1918년 10월에는 제13육군단, 제5육군단, 제12예비군단, 제57특수배치장군사령부, 메스 집단 등으로 구성되었다. 역대 사령관으로는 헤르만 폰 슈트란츠, 막스 폰 뵈흔, 게오르크 푸흐즈, 에두아르트 폰 벨로프 등이 있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독일 제국군의 야전군 - 파울 폰 힌덴부르크
파울 폰 힌덴부르크는 제1차 세계 대전의 영웅이자 바이마르 공화국 대통령이었으나, 히틀러를 총리로 임명하여 나치즘 집권에 기여했다는 비판을 받는 인물로, 군사적 성공과 정치적 책임 사이에서 재평가되고 있다. - 독일 제국군의 야전군 - 제4군 (독일 제국)
제4군 (독일 제국)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제국 육군의 야전군으로, 슐리펜 계획에 따라 서부 전선에서 활동하며 국경 전투, 1차 이프르 전투, 파스샹달 전투 등에 참전했다. - 1914년 설립 -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군단
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군단(ANZAC)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양국 연합군을 지칭하는 약칭으로 시작되어 여러 전투에서 사용되었으며, 갈리폴리 전투에서의 활약으로 양국 간 유대감과 공동의 기억을 상징하고, 현재는 양국 국방력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상표권으로 보호받는다. - 1914년 설립 - 메릴린치
1914년 설립된 미국의 투자은행 메릴린치는 중개업 네트워크를 통해 성장하여 세계적인 금융 기업이 되었으나,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뱅크오브아메리카에 매각되었고 현재는 부유층 대상 자산운용 사업에서만 브랜드가 유지되고 있다. - 1918년 폐지 - 스파르타쿠스 동맹
스파르타쿠스 동맹은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직후 카를 리프크네히트 주도로 스파르타쿠스단을 재건하여 독일에서 결성된 혁명적 좌익 정치 조직으로, 군부로부터 권력을 장악하고 소비에트 공화국 건설을 목표로 독일 공산당 창당 후 스파르타쿠스 봉기 진압 과정에서 해체되었으며 독일 혁명과 좌익 사회주의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. - 1918년 폐지 - 헤센 대공국
헤센 대공국은 1806년 헤센-다름슈타트 방백령이 승격되어 성립된 독일 국가로, 나폴레옹 전쟁과 빈 회의의 영향, 19세기 사회·정치적 변혁, 독일 제국 편입을 거쳐 제1차 세계 대전 후 멸망, 현재 헤센 주의 일부가 되었다.
C 분견군 - [군대/부대]에 관한 문서 | |
---|---|
명칭 | |
독일어 명칭 | 아르미압타일룽 슈트란츠 |
변경 후 독일어 명칭 | 아르미압타일룽 체 |
영어 명칭 | Army Detachment C |
기본 정보 | |
창설일 | 1914년 9월 18일 |
해체일 | 1918년 11월 11일 이후 |
국가 | |
소속 국가 | 독일 제국 |
군사 | |
군 종류 | 육군 |
역할 | 분견대 |
규모 | 야전군 |
참전 | 제1차 세계 대전 |
지휘관 | |
주요 지휘관 | 본문 참조 |
기타 | |
![]() |
2. 역사
C 분견군은 1914년 9월 18일 제5군의 좌익(남부)에서 V 군단 사령관의 이름을 따 '''''분견군 슈트란츠'''''로 창설되었다. 슈트란츠는 V 군단 사령관직을 유지했지만, 실제 지휘는 사단 사령관이 대리했다. 1917년 2월 2일 '''''C 분견군'''''으로 재편되었고,[1]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시까지 군집단 갈비츠 소속으로 서부 전선에서 활동했다.[2]
2. 1. 창설 배경
1914년 9월 18일 제5군의 좌익(남부)에서 '''''분견군 슈트란츠'''''가 창설되었다. 이 명칭은 V 군단 사령관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. 슈트란츠는 V 군단 사령관으로 남았지만, 이 직책은 사단 사령관이 대리했다. 1917년 2월 2일에 '''''C 분견군'''''으로 재편성되었다.[1]2. 2. 주요 전투 및 활동
C 분견군은 1917년 2월 2일에 재편성되었다.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에도 존속했으며,[1] 군집단 갈비츠의 일부로 서부 전선에서 활동했다.[2]2. 3. 종전
C 분견군은 종전 시점까지 존속했으며, 군집단 갈비츠의 일부로서 서부 전선에서 활동했다.[2]3. 전투 서열
C 분견군은 제1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독일 제국 육군의 편제였다. 1914년 12월 10일과 1918년 10월 30일의 전투 서열은 다음과 같다.[8][9]
{| class="wikitable"
|+ C 분견군 전투 서열
|-
! 1914년 12월 10일[8]
! 1918년 10월 30일[9]
|-
|
야전군급 | 군단급 | 사단급 |
---|---|---|
제10사단 | ||
제3바이에른 왕립군단 | 제5바이에른 왕립사단 | |
제6바이에른 왕립사단 | ||
분견군사령부 직속부대 | 제33예비사단 | |
바이에른 기병사단 |
|
야전군급 | 군단급 | 사단급 |
---|---|---|
C 분견군 | 제13육군단 | 제5근위사단 |
제3바이에른 왕립사단 | ||
제241사단 | ||
제5육군단 | 제13향토방위사단 | |
제94사단 | ||
제35사단 (오스트리아-헝가리) | ||
제12예비군단 | 제5향토방위사단 | |
제224사단 | ||
제57특수배치장군사령부 | 제8향토방위사단 | |
제255사단 | ||
메스 집단 | 제31향토방위여단 | |
제10사단 | ||
제18향토방위사단 | ||
제2향토방위사단 |
|}